여수백병원(원장 백창희)이 특화된 힘줄이전술로 국제 브랜드를 쌓는데 초석을 마련하였다.
지금까지는 어깨 인공관절 수술 후 용변처리나 속옷을 입는데 어려운 불편들이 있었는데 이를 인공관절수술의 한계라고 포기하고 살아왔던 부분들에 대해 여수백병원이 특화된 힘줄이전술을 인공관절 수술에 결합해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 국제적인 학술지의 인정을 받았다.
▲ 여수백병원_백창희 원장
국내 개원가에서 SCI급 연구주제가 세 개나 연거푸 실리는 것은 드문 일이다.
이번 SCI 국제 학술지(Journal of Shoulder Elbow Surgery)에 채택된 연구논문은 ‘내회전 소실을 지닌 회전근개건병증 환자에 대한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과 동반된 전방 광배근과 대원근의 병합 이전술은 어깨인공관절 수술 후 팔을 안으로 돌리는 힘이 떨어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어깨인공관절에 광배근과 함께 대원근 두 개 힘줄을 이전하여 좋게 하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자신들이 간과하고 있던 부분을 예리하게 캐치하고 해결책을 제시 했다고 Excellent하다’며 ‘박수갈채를 보낸다’는 답변과 함께 채택 되었다.
두 번째 연구주제로는 SCI 저널(The journal of Arthroscopic and Related Surgery)에 실린 어깨치료 연구 주제로 ‘봉합이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상부 관절낭 재건술에서 이식편의 두께가 미치는 영향으로, 이는 봉합이 불가능한 어깨힘줄 대신 어깨가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관절막을 이식해서 만들어 주는 치료방법에서 적합한 이식편의 두께 결정에 중요한 대안을 제시해 주었다,
▲일러스트_어깨인공관절과 광배근,대원근병합 이전술
또, 세 번째로 국제 SCI학술지(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봉합이 불가능한 후상방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에 대하여 광배근 이전술과 하부승모근이전술 비교연구로 역시 현재까지 봉합이 불가능한 어깨힘줄파열 치료에서 힘줄이전술과 이식술의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들이 없어서 향후 치료법 선택에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연구논문으로 찬사를 받았다.
질문 : 치료만 하기에도 바쁜데 연구까지 하기는 더 힘들지 않느냐?
백창희 병원장은 “연구는 주로 새벽에 일어나 출근 전에 집중해서 하고 있는데, 연구와 치료는 두 개의 바퀴와 마찬가지다, 연구는 다음 치료가 나아갈 방향을 우리에게 스스로 찾게 해준다, 치료는 책만 보고 하는 것은 아니다. 치료 또한 움직이는 생물이나 마찬가지여서 계속 진화하게 된다. 그래서 더 나은 새로운 치료가 세상에 나오게 되고 전 세계 의사들이 따라 하게 되면 그 다음 환자부터는 좀 더 나은 치료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질문 : 어렵고 힘든 수술인데 굳이 힘줄이전술을 왜 하느냐?
백창희 백원장은 “10년 전부터 힘들어도 꾸준히 해 오면서 수술방법들을 개선시킨 결과들이 이제 국제학술지 SCI 저널에서 호평을 받았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경험이 없으면 섣불리 시도조차 할 수 영역이 맞다. 국내에서는 어깨 힘줄이전술을 하는 의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없는, 그리고 어렵지만, 두 번째 어깨를 만드는 이 특별한 경험과 기회가 우리한테 주어진 거에 감사하며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께 두 번째 어깨로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여수백병원은 기존에도 ‘수술없는 없는 오십견 치료방법’, ‘봉합불가능한 어깨힘줄 파열에서 광배근 이전술’ 등이 국제학술지 JSES(Journal of Shoulder Elbow Surgery)에 논문 채택, 등재되었었고, 새로운 어깨힘줄 이전 치료법에 대해서 미국 정형외과 학회, 유럽어깨학회 등 다수 국제학회에서 발표를 하여 많은 어깨 학자들에게 관심과 갈채를 받고 있다.
▲ Arthroscopy_여수백병원
새 희망을 열어가는 여수인터넷뉴스
기사제보/취재요청 061) 691-7500